봄철 화창한 날씨에 밖에 애들이랑 놀러가고 싶지만 창 밖을 보니 엄두가 안나네요.
그래서
공기 청정기 하나 구입할려는데 어떤게 좋을지 포스팅합니다.
구매하실려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 ^.^
모든 제품을 다 비교하기는 무리고 요즘 핫한 아이템을 기준으로
비교해 볼께요.
다들 아시죠? 샤오미 미 에어 2
비교할 제품으로는 국산제품 LG전자 퓨리케어 입니다.
두 제품 모두 필터식청정, 초미세먼지제거등 기능이 비슷한 제품이라 비교하게 되었어요.
참고로 필자는 아직 구입 전 단계로 어떤게 좋을지 비교한 후 구입할 예정입니다.
이제 사양 비교해 봅니다.
1. 필터타입
공기청정기에서 제일 핵심부품은 바로 필터죠~
[Xiomi Mi Air 2]
필터 구성은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1단계 : PET primary filter
- 100% — large particles
2단계 : HEPA (High-efficiency Particulate Arrestance) filter
- 99,3% — particles to 0.3 micrometer(0.3um)
- 99,99% — particles to 2,5 micrometer
3단계 : Activated carbon adsorption filter
- 91% — formaldehyde and other harmful substances
[LG전자 퓨리케어]
마찬가지로 3단계 구성입니다.
1단계 : 프리필터 : 큰입자제거 |
2단계 : 3M 초미세먼지필터(FLA-V079SE) : 미세먼지제거
|
3단계 : 스모그 탈취필터(냄새제거) * 필터 평 * 먼지는 초미세먼지, 미세먼지로 나누어집니다. 초미세먼지는 PM 2.5, 미세먼지는 PM 10으로 구분가능합니다. 필터성능으로 봐서 LG전자제품이 PM 1.0(0.1um)로 제거가 가능하니 더 좋은 필터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 필터등급으로만 봐서는 두 제품 모두 E11(0.5um에 제거율 95%이상)로 같습니다. 2. 필터교체 [Xiomi Mi Air 2] |
뒤쪽 필터 커버를 Open 한 후 필터만 교체하면 끝입니다. 정말 쉽죠.
[LG전자 퓨리케어]
마찬가지로 후면 커버를 연후 필터를 교환하면 됩니다.
다면 LG전자는 바깥 쪽 프리필터로 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2, 3단계의 필터를 교체하게 됩니다.
3. 필터교체 비용
- 샤오미 : 개당 45,000(배송비 미포함)
- LG전자 : 개당 저렴이로 38,000(배송비 미포함)
4. 별도기능
[Xiomi Mi Air 2]
- 와이파이 연동을 통해 동작, 필터 수명 등 기타 등등 작동가능합니다.
[LG전자 퓨리케어]
- 필터기능 외 이오나이저 기능이 있습니다. 살균 및 오염물 제거 기능이죠.
5. 디자인
- 샤오미의 디자인이 확실히 좋아 보입니다. 이전 샤오미 1 보다 크기도 슬립해졌고, 집안 구석에 놨을 때 사각 디자인이다 보니 제격입니다. 이에 반해 퓨리케어 제품은 왠지 바닥 청소기를 세워 놓은 듯한 모습에 약간 넘어질듯한 느낌입니다.
6. 소비전력
[Xiomi Mi Air 2]
- 일반 모드 시 4.8watt 라는 경이로운 소비전력을 보여주네요.
[LG전자 퓨리케어]
- 정말 웃긴게 메뉴얼을 찾와봐도 어디에도 소비전력이 안 나오네요. 정말 국산제품 맞나요. 참고로 메뉴얼 링크 넣어드리니 못 믿으시겠으면 찾아보세요. (혹시 찾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. 수정하겠습니다.)
- 이 상 -
이상 6가지 특징들을 비교해봤습니다. 이 글을 보시고 청정기 구입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